전체 글 38

인터넷의 작동법 정리 (2)

IP주소와 도메인 IP주소란 네트워크의 각 장치에 할당된 고유한 식별숫자로 올바른 대상으로 데이터를 라우팅하여 정보가 수신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도메인이란 웹사이트, 기타 인터넷 리소스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이름이다. google.com은 도메인 이름이며 도메인 이름은 DNS(Domain Name System)를 사용하여 IP주소로 변환된다.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인터넷 인프라의 중요한 부분이다. 웹 브라우저에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컴퓨터가 DNS 쿼리를 DNS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IP 주소를 반환한다. 그러면 컴퓨터는 해당 IP 주소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웹 사이트나 기타 리소스에 연결한다. 도메인(구글, 네이버...)..

용어정리 (1)

크롤링 웹 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행위. 관련 소프트웨어는 크롤러라고 부른다 파이썬이 이 분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전공자/통계분야 종사자들이 쓰기 쉽도록 라이브러리가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두 소프트웨어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매커니즘 ex) 기상청의 소프트웨어 시스템 속 일일 기상 데이터 -> 휴대폰 날씨 앱은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가 직접 보게끔 해줌 JSON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을 때 쓰이는 형식, 데이터를 보낼 때 주로 사용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JSON은 그중 많이 쓰이는 데이터 형식으로 사람이 읽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SQL 데이터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거나 갱신하기 위..

인터넷의 작동법 정리 (1)

우선 네트워크의 정의를 알아야 한다. -> 네트워크란 대부분의 사회구성원이 동일한 구성을 가진 PC,통신기기를 보유하고 있을 때 형성된다 -> 형성된 네트워크가 서로 연결될 때 그물, internet이 기능한다. -> 인터넷은 1960년 말, 미 국방부가 핵공격을 견딜 분산형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했다. -> 오늘날, 인터넷은 우리 생활에 있어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인터넷의 작동 원리 : 개요 -> 일원화,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컴퓨터 시스템과 장치를 연결하여 작동한다. -> 프로토콜은 장치간 정보 교환 방법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안전한 송수신을 보장한다. -> 인터넷의 핵심은 라우터(Lan Gateway)의 글로벌 네트워크로 서로 다른 장치와 시스템간 트래픽 방향 설정을 담당한다..